본문으로 이동

바게트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

바게트
다른 이름바게트빵
종류
원산지프랑스
관련 나라별 요리프랑스 요리
주 재료밀가루, 소금, , 효모

바게트(프랑스어: baguette, 문화어: 바게뜨)는 프랑스이다. 바게트빵(baguette+pão)으로도 부른다. 길쭉한 막대기 모양 빵으로, 밀가루, 소금, , 효모 4가지 재료만으로 만들며, 겉에 단단한 크러스트가 있다. 프랑스의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.

이름[편집]

프랑스어 "바게트(baguette)"는 "막대기"라는 뜻이다. " 막대기"라는 뜻의 바게트 드 팽(프랑스어: baguette de pain), "막대기 빵"이라는 뜻의 팽 바게트(프랑스어: pain baguette), "파리식 바게트"라는 뜻의 바게트 드 파리(프랑스어: baguette de Paris)로도 부른다. 로렌에서는 "파리의"라는 뜻의 파리지앵(프랑스어: parisienne)으로도 부르며, 벨기에퀘벡에서는 "프랑스 빵"이라는 뜻의 팽 프랑세(프랑스어: pain français)로도 부른다.

만들기[편집]

프랑스 식품법에서는 밀가루, 소금, , 효모 4가지 재료만으로 만든 빵만 "바게트"로 부르도록 규정하고 있다.[1] 굽기 전에 반죽에 칼집을 넣고 물을 뿌려 굽는데, 칼로 진집을 ���는 것은 반죽이 부풀며 불규칙하게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고, 물을 뿌리는 것은 수분증발하며 겉에 딱딱한 크러스트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. 굽는 중에도 오븐 안에 뜨거운 증기를 뿌려 빵 표면에 바게트 특유의 바삭한 질감이 잘 나오도록 한다.

프랑스 식품법은 바게트에 들어가는 재료만 규정했을 뿐 제조법까지 규정하지는 않아 제조법이 다양한데, 일부 프랑스 제빵 교과서는 바게트를 길이 67~68cm, 무게는 오븐에서 구워낸 완제품 기준 280g으로 규정한다. 원료 배합률은 밀가루 100%, 물 58~60%, 소금 1.8%, 효모 1.0%이다. 22°C에서 반죽해 3시간 30분 발효시킨 뒤 350g 크기로 분할하여 막대 모양으로 성형하고 표면 위쪽에 칼로 사선을 3~4개 긋는다. 250~280°C 오븐에서 15~18분간 굽는다.

종류[편집]

이름 반죽 무게 (g) 빵 무게 (g) 길이 (cm) 설명
되 리브르(deux livres) 850 680 54~55
파리지앵(parisien) 650 500 67~68 길고 통통한 빵
바게트(baguette) 350 280 67~68 대표적인 프랑스 빵
바타르(bâtard) 350 280 40~41 짧고 통통한 빵
플뤼트(flûte) 250 200 62~63 바게트보다 가늘고 짧은 빵
피셀(ficelle) 150 120 30 길고 가느다란 빵
(boule) 350 175 280 140 - 둥근 공 모양 빵
샹피뇽(champignon) 60 48 - 버섯 모양 빵
팡뒤(fendu) (대) 350
(소) 50
(대) 280
(소) 40
-
쿠페(coupé) 150 120 - 약간 길쭉한 타원형 빵
타바티에르(tabatière) (대) 350
(소) 50
(대) 280
(소) 40
- 파이프 담배, 케이스 모양 빵

사진[편집]

같이 보기[편집]

각주[편집]

외부 링크[편집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