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이동

불탑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

불탑(佛塔) 또는 탑파(塔婆), 파고다(Pagoda)는 산스크리트어스투파(Stupa)에 어원을 둔 단어로 석가모니사리가 안치되어 있는 일종의 무덤 건축물을 의미한다.

역사[편집]

탑의 기원은 석가모니열반에 든 후 그 사리를 보관한 무덤인데, 이후 석가모니의 사리가 여러 지방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형태의 탑이 만들어졌다. 이들은 대부분 네모난 기단을 다지고 그 위에 봉분에 해당하는 둥근 구조물을 얹고 다시 그 위에 우산 모양의 상륜부를 얹은 당시 인도의 무덤 형태를 따랐다. 이 구조는 탑이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는데, 중국의 목조건축양식 혹은 벽돌건축양식과 만나 둥근 구조물과 상륜부는 축소되어 탑의 지붕 위에 장식처럼 얹히게 되었다. 이들을 각각 목탑양식, 전탑양식이라 부른다. 이 두 양식이 다시 한국으로 전해져 황룡사, 미륵사, 분황사의 탑이 만들어졌고 다시 두 양식이 혼합되어 한국 고유의 석탑양식이 만들어졌다. 그 대표적인 예가 감은사불국사의 탑이다. 석탑양식은 고려조까지 계속 이어졌고 고려 중기 이후 의 영향으로 경천사 십층석탑 등이 만들어졌다. 일본으로 전파된 탑은 목조건축이 발달한 일본의 문화에 따라 목탑양식이 그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.

사리[편집]

탑은 본래 석가모니의 사리진신사리(眞身舍利)가 들어가게 되어 있다. 그러나 탑의 수가 늘어나자 한정된 수의 진신사리로는 수요에 응할 수 없게 되었다. 그리하여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법신사리(法身舍利)로써 진신사리를 대체하기 시작했다.[1] 법신사리는 불경·불상··발우·지팡이·좌구(坐具)·보석 등이 될 수 있으며, 심지어는 모래··대나무·나뭇가지도 될 수 있다.[2]

구조[편집]

탑은 그 역사에서 비롯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구조를 가지는데 가장 아래쪽의 기단부와 탑의 몸체를 이루는 탑신부,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상륜부가 그것이다. 기단부는 다시 상대기단과 하대 기단으로 나누���지는데 경우에 따라 하대 기단은 생략되기도 한다. 탑신부는 탑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탑의 층수를 결정한다. 상륜부는 노반, 복발, 용주, 보좌 등등의 여러 부분으로 세분된다.

종류[편집]

건축재[편집]

동아시아의 각국은 독자적인 탑 문화를 갖고 있었다. 대한민국은 석탑, 중국은 전탑, 일본은 목탑이 보편적이었다.

석탑[편집]

한국의 대표적인 석탑인 석가탑

한국은 화강암이 풍부한 나라답게 대부분의 현존하는 탑은 석탑이다.

중국에서 최초의 대규모 석탑은 수나라 때인 611년 산둥성 지난시 리청구에 있는 사문탑이다. 숭악사탑과 마찬가지로 탑 꼭대기에 첨탑이 있다.

목탑[편집]

중국의 한나라부터 남북조 시대까지 탑은 다른 고대 중국의 건축물처럼 대부분 목재로 지어졌다.

전탑[편집]

전탑은 벽돌을 이용하여 지은 탑을 의미한다. 전탑에 사용된 벽돌은 흙을 불에 구워서 만들어졌다.

전탑 목록

같이 보기[편집]

각주[편집]

  1. 불탑 두산백과
  2. 사리장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

외부 링크[편집]

  • 위키미디어 공용에 불탑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.